New Field of Photography Colour Balance Technology 새로운 사진의 영역 컬러 밸런스 기술
Korean Photo innovation 6 year research on colour balance. 6년의 연구 끝에 탄생한 한국의 컬러 밸런스 기술
Two years ago, we tested the colour balance tool CBL Lens and we gave it our warm recommendation, but first of all for use with jpeg and when one would like neutral colours. 2년전에 컬러 밸런스를 잡아주는 CBL Lens 를 테스트한 바가 있었습니다.
When it was made clear that we had misunderstood quite a lot concerning Cbl we where invited to Seoul, South Korea to talk directly to the inventor\developer of the colour balance tool. 그 후 우리는 CBL Lens 를 사용하는데 많은 오류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 제품의 개발자이며 컬러 밸런스의 창안자와 직접 대화를 하기 위하여 서울로 초대되었습니다.
We met CBL briefly during last year, Photokina in Cologne, where we discussed our experiences with CBL Lens. 우리는 작년 포토키나에서 CBL 에 대하여 간단히 그 간 우리의 경험을 서로 이야기 한 적이 있었습니다.
Based on the experience of Fotografi, the representatives of CBL showed high interest, because they politely felt we were wrong concerning the use for only jpeg and that it neutralized the white balance in the same manner as with grey card. We had no time to finish our talk at a hectic exhibition stand and decided to keep in touch. 2년전 Fotografi 잡지에 게재한 기사를 보고 CBL 노르웨이 총판이 정중하게 CBL 사용에 약간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단지 JPEC 파일로 사용되는 것도 아니고 CBL 이 그레이 카드와 같이 단순히 화이트 밸런스를 잡아주는 걸로만 알았습니다. 그리고 포토키나에서는 전시장 분위기 때문에 자세히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다시 만날 것을 예약하고 헤어졌습니다.
At the same time we restarted our test with CBL Lens, especially concerning different light setting and raw. 그리고 후에 각 기 다른 광원하에서 그리고 RAW 파일로 CBL Lens 를 테스트하여 보았습니다.
Previously, the problem with raw was that many kinds of raw files could not transfer the cameras white balance measure to the raw developer, unless you used the camera manufactures programs. This work float is not suitable for all , due to this we were skeptic when we first tested CBL Lens. RAW 파일로 촬영 시에 카메라자체의 화이트 밸런스기능을 카메라 내장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한 제대로 가져갈 수 가 없었고 이러한 RAW 파일 작업시 이러한 이유로 처음 CBL Lens를 테스트 하였을 때 이 제품에 대하여 사실 좀 회의적이었습니다.
A fast check shows that both aperture, Photoshop and Lightroom can now read the registered white balance from the cameras raw files, when set in manual white balance. 노출, 포토삽, 라이트룸을 통하여 보면 카메라의 RAW 파일로 화이트 밸런스를 잡을 수도 있었습니다.
Due to our access to many different cameras, both compact and DSLR, we did many tests and found the same result. We also tested CBL under light setting where it is not wanted to neutralize the colour balance, such as warm evening light, sunset, blue hour etc. 또한 많은 기종의 다른 DSLR 카메라들과 컴팩트 카메라까지 사용해 테스트 해 보았는데 별다른 차이가 없었습니다. 심지어는 밸런스 잡기 어려운 저녁때나 일몰, 일출 조건에서도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After some hard tests we found out that CBL did not neutralize the colurs, but gave us a result we experienced as realistic, even if the\ colours where warm\cold or neutral. 여러 가지 다양한 조건과 광원 하에서 CBL 을 테스트해본 바, 이 제품은 색감을 바꾸어 줄 뿐만 아니라 따스하거나, 차갑거나, 중간 톤 하에서도 색감을 더욱 생생하게 표현해준다는 알게 되었습니다.
This we did not understand, we had previously looked at cbl lens as a white balance tool such Kodak grey card or expodisc, both used to adjust the light for colour slurs. CbL kept some colour slurs, but in a way we looked upon as correct. It around this time we got the invitation to Korea. 사실 우리는 이 CBL Lens 가 코닥 그레이 카드나 엑스포디스크와 같이 색감을 어느 정도 잡아주는 그런 밸런스 도구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하고 한국에 가게 되었습니다.
To the Source:
Normally, such an invitation would make us skeptic- pure trips of corruption does not go hand in hand with expressed balanced journalism. In this case it was no talk about such a thing, but more the experiences and possibility to explore the inventor\developers behind this product and get a thorough idea of the product, manufacture, as well as, the specific skills the developers could document. 통상 이러한 초청은 균형된 언론인임을 지향하는 우리에게는 대게 회의적이다. 초청자의 입장에서는 제품에 대하여 잘 보이려는 생각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우리는 일단 이 제품을 개발한 개발자와 그 배경, 아이디어, 특별한 기술 등에 대하여 우선 알아보고자 하였다.
---------------------------------------------------------------------- Picture of CBL Lens\Text\Mr Choi:
Young-Gil Choi lead a team of six developers and this work lasted for 6 years before they found the solution they call " full colour balance" for digital shooting. 개발 책임자인 최 용길씨가 총 6명의 공동 개발자와 함께 6년에 걸쳐 이들이 주장하는 “풀칼라 밸런스’ 라는 해법을 찾았다고 하였다.
The assignment he got, was to develop a solution that would secure the Colours, which is equivalent to the human eye and which can be used under all light setting\sources. The result was CBL Lens, a disk you can bring with you wherever you are. - Grey card and other white balance tool is not sufficient because they are based on neutral grey and not the full colour spectrum, Young Gil Choi express to Fotografi. 이는 모든 광원 하에서 인간이 눈으로 보이는 정색의 칼라 밸런스를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으며 이를 결국 달성하게 되었다. – 즉 그레이 카드나 기타 다른 화이트 밸런스 제품들은 충분하지 못한 뉴트럴 그레이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진정한 정색을 표현하기가 불가능하고 스펙트럼 기술에 의한 풀 칼라 밸런스만이 모든 색감의 정색 표현이 가능하다고 개발자인 최실장님이 Fotografi 지를 통하여 말하고 있다. ----------------------------------------------------------------
We would have the chance to visit the annual photo exhibition Seoul International Photo & Imaging Show 2009, where the Norwegian photographer, Marcel Leliënhof would have a big separate exhibition and we would have more than enough time to photograph with CBL Lens with full access to the expertise behind the product. With all these unanswered questions we decided to accept the invitation, in order to see what we could learn. 이번 2009년 서울 코엑스 P&I 전시에서 노르웨이 유명 작가인 마르셀씨의 전시가 있었으며 우리는 서울에서 CBL Lens 를 가지고 여러 가지 많은 이미지와 아름다운 장소들을 촬영할 수 가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CBL Lens 에 대하여 아직 알고 싶은 여러 가지 의문점들을 해결하고 또한 배우기 위하여 서울 초청에 응하게 되었다.
New Field of Photography Colour Balance Technology 새로운 사진의 영역 컬러 밸런스 기술
Picture\Text\Comparison: First paragraph:
These images from Seoul, shows how CBL lens contributes to give us the true colours of nature, even if the light don’t have a neutral colour balance. The image on the left is taken with manual white balance set with CBL. As we can see, the image keeps a warm colour tone in the dawn mid day light, where a grey card would have given us equivalent to a neutral grey tone on white surfaces. 이 미지들은 서울에서 촬영한 것으로 CBL Lens 가 얼마나 색감을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표현해 주는 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왼쪽의 사진이 매뉴얼 CBL 밸런스로 촬영한 것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저녁 해질녘의 광원 하에서의 색감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The image on the right is taken with the same camera and with close to same setting,, but with automatic white balance. The blue slur, is typical for these images, because the camera has difficulties finding a neutral reference. 우측의 사진은 같은 조건하에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 하에서 촬영하였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푸른 시안이 덮여있고 정확한 색감을 충분히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As framed, we can see how the correct colours balance brings out the depth and details, which is obvious when we use CBL. With Colour slur these details and colour contract would be wrong and camouflaged. 위와 같이 정확한 칼라 밸런스가 사진의 디테일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가를 CBL Lens 를 사용함으로써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풀 칼라 밸런스가 없을 경우 색감이 얼마나 왜곡되고 정확한 색감 전체 표현이 불가능한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Both images are shot with raw format and manually developed in Lightroom with the precise\same contrast enhancement and then prepared\adjusted for for print and easily sharpen in Photoshop, still at same procedure. All automatic adjustments in Lightroom was turned off and no colour adjustment changed, besides the contrast enhancement. Both pictures were taken at the same time on a solid tripod, 이 두 이미지는 RAW 포멧으로 촬영하였고 정확히 동일한 조건하의 라이트룸을 사용하여 출력하였고 또 동일한 방식으로 포토삽으로 이미지를 살펴도 보았습니다.라이트룸에서 모든 자동 조정장치를 중지시켰고, 색감조정도 조작하지 않았고 콘트라스트 확장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 두 사진 이미지는 좋은 삼각대로 모든 촬영 조건들이 동일한 상황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Æ It was the businesswoman Hyun-Joo Kim who took the initiative to what has become CBL Lens in year 2000. Her business produced photography’s and printing goods with high quality demands, which is a part of the heavy marketing of products and she is a eager photo enthusiast.
이 회사의 대표이사이신 김현주씨가 지난 2000년에 CBL Lens 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를 내신 분입니다. 이 분의 회사 직원 모두가 사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였고 보다 좋은 사진, 출력에 항상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Due to the high quality she was used to, she felt the level dropped when we went from film to digital. They tried all available tools, such as setting white balance with grey card or similar tools such as expodisc. These tools did not give them the wanted result. 그리고 그때 당시부터 앞으로는 디지털 사진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것을 예감하고 보다 나은 사진을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비를 사용하는 가운데 밸런스 계통의 그레이 카드나 엑스포 디스크에 만족할 수가 없어서 더 낳은 커스텀 밸런스를 도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Mrs Kim contacted Young Gil Choi, a passionate amateur photographer with more than 30 years experience and engineer in electronic and machine, who combined a team of six engineers within the same field, colour balance, with the assignment to develop a better alternative for white balance for digital shooting\recording. 김 대표이사는 과거 30여 년간 정열적인 아마추어 사진가였으며 전자와 기계공학을 전공하신 최 용길 실장님과 제품 개발에 대한 계약을 하셨고 최실장님은 한국에서 광학 및 컬러 밸런스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 6명과 함께 제품 개발에 들어갔습니다.
After 2 years development, they had a finished product, but the team did not accept the result even though it was better than all tools they had tested before. 이들 개발팀들이 2년간의 연구 개발 끝에 밸런스 제품을 개발하였고 기존의 모든 밸런스 제품보다 그 결과가 좋았으나 결국 스스로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Two years, down the drain, but the team had learned that conventional white balance calibration is not satisfying. If they were going to get progress they had to leave the principle of calibration towards neutral grey or white references and find a way to calibrate towards the seen colour spectrum in controlled forms. 2년간의 그들의 연구 결과는 결국 무용지물이 되었지만 기존의 화이트 밸런스 방식은 그 한계가 분명히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만약 이들 연구진들이 기존의 모든 화이트 밸런스 제품보다 우수한 그들의 제품에 만족하였다면 오늘날 스펙트럼 기술의 풀 칼라 밸런스는 탄생하지 못했을 겁니다.
Finished product: 제품의 완성
3 years later, in 2005, the prototype of CBL-Colour balance lens-saw the light. One year later, thorough tests were finished. Mr Choi got a muscle injury in his shooting finger due to overload, but the product was good. First of June 2006, CBL CO was established and a few months later they attended Photokina in Cologne., where they received an enormous attention and was nominated as one of the ten most important news on the exhibition. After Photokina they entered and introduced Cbl, at the important exhibitions in the States, such as PMA and PHOTOPLUS.
그 후 3년 후인 2005년 CBL 칼라 밸런스 렌즈 모형이 탄생하였고, 일년 후 무수한 테스트와 검증을 거친 후 드디어 완성품이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최실장님은 수년의 개발 및 무수한 테스트 과정에서 손목과 손가락에 근육 장애까지 겪으면서 완벽한 제품 개발에 전력투구 하였습니다. 이러한 각고의 노력 끝에 완성품이 만들어지고 2006년 6월에 CBL 법인을 설립하고 같은 해에 독일 쾰른의 포토키나에 참석하였고, 포토키나 전체 전시 품목 중 가장 인상적인 품목중의 하나로 선정되었고 여러 사람들로부터 많은 찬사와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후 세계 사진 전시의 대표적인 행사로 꼽히는 미국의 PMA, PHOTOPLUS 등 을 포함하여 유명 사진관련 전시 행사에 참가했으며 가는 곳마다 제품과 그 원리에 대하여 엄청난 주목과 반응을 얻었습니다.
Effectivity: 우수한 효과
- The Camera manufactures realize that the camera can not supply you with perfect colour balance. Therefore the cameras comes with the possibilities to set your own white balance, this includes highly advanced professional cameras. 카메라 제조사들은 자신이 제조한 카메라가 완벽한 화이트 밸런스를 제공해 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좋은 이미지를 원한다면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를 사용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매우 고가의 정말 최고급 카메라도 마찬가지 입니다. And that is the most important skill your camera need, in order to use CBL lens. It’s at least as useful for video as it is for photo and CBL has made an own model which covers this. The model is significally bigger than the standard model. 그래서 이러한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는 카메라 기술 중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 말할 수 있으며 CBL Lens 가 정말로 필요한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CBL Lens는 현재 사진과 비디오용 모두 있으며 비디오 용은 기본 사진용보다 크기가 더욱 큽니다.
The goal is that the colours should be set direct from camera, and you can then minimize the after work in Photoshop. At the same time as colour slur would be cleared and give you better detail and gradation. And of course: The more correct colour balance, the better details and gradation. but why not neutral colurs? Well, because that’s not the way the eye sees colours. Everyone who has
Fotografi 3/09 76 Æ
tried knows that it looks very unnatural with full neutral colours in sunset or indoor with weak lamp light. 사진작업은 카메라를 촬영함으로써 대부분 끝나야 하고 포토삽과 같은 후 보정 작품은 최대한 적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또한 시안, 마젠타나 같은 막이 없어져야 하고 사진의 디테일과 그라데이션 등이 보다 확실하게 살아나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일몰, 실내와 같이 좋지 않은 광원 등에서 정확한 색감 표현이 힘들어지고 매우 자연스럽지 못한 이미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Controll of the Spectrum:
-CBL Lens works as a prism and catches all direct and indirectly light, This is collected and sent to the camera, says Mrs Hyun-Joo Kim. -The white colour is carefully set together by 13 primary colours, which is heated to the shape it has, where all edges are in 45 degree. The result is a reflection which represents the seen colour spectrum, true colour of nature and with gradation which is equivalent of 16 bit colours. The backside is grey, but its not a "grey plate" but a prism. A prism with lower reflection, which should be used where the light is so powerful that it could give you an overexposed calibration file. - CBL Lens는 간단히 정의하면 직접 혹은 간접적인 모든 빛을 받아드리는 프리즘의 역할을 하고, 이러한 빛이 프리즘을 통하여 스펙트럼을 카메라에 방출함으로써 풀 칼라 정보를 카메라에 인식시키게 되는 원리라고 이 회사 김 대표이사가 말하고 있습니다. - 전면의 흰색 판은 13가지 원색들이 열처리를 통한 화학반응에 의하여 만들어 졌고 외곽원판은 다양한 각도의 빛을 받기 위하여 45도 각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프리즘을 통하여 들어온 빛이 방출 스펙트럼으로 16 비트의 풀 칼라를 재현해내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뒷면의 회색 판은 단순한 뉴트럴 그레이가 아니라 주요 원색의 열처리로 만들어진 색이며 양각되어진 글자 패턴들이 모두 프리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며 스트로브와 같이 빛이 강하거나 난반사가 우려되는 강한 직광일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This is the control of spectrum, which is called Full colour balance. The disk of reflections are directed direct towards the objective and collects both direct light and reflected light from the environment. As long as the light, falls on CBL lens, the correct temperature can be set with the manual white balance setting. It does not even matter if the CBL Lens is in focus. 이와 같이 스펙트럼 컨트롤에 의하여 풀칼라 밸런스가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광원 하에서도 매우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칼라 밸런스 작업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즉 어떠한 광원이라도 CBL Lens 와 만나게 되면 정확한 색 온도가 잡히게 되며, 밸런스 세팅시 굳이 초점이 맞지 않아도 충분한 스펙트럼 정보가 카메라에 세팅되게 됩니다.
All other white balance tool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18% neutral grey reflection, developed when film was superior and black and white was the priority. Only CBL Lens can catch the whole colour spectrum and can create the correct white balance, even when the light is not near 5500K. With the correct white balance, you camera will easier avoid to overfill every colour channel. 기존의 모든 화이트 밸런스도구들은 18% 뉴트럴 그레이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것은 실로 오래 전의 기준으로 흑백 필름 카메라 당시 노출을 정하는데 사용된 원리이기도 합니다. 오직 CBL Lens 만이 이와 같은 기준을 넘어선 풀 칼라 스펙트럼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5,500 캘빈도 근처가 아니라도 완벽한 색감을 표현해주는 혁신적인 밸런스 도구입니다.
For the person who prefer to deliver finished images direct from camera with jpeg files, will gain a perfect colour balance without correction in Photoshop. If the contrast and colour fill is adjusted in the camera, the work float can be done very effectively. CBL Lens 를 사용함으로써 더 이상 지루하고 시간소모적인 포토삽에 의존하지 않고도 촬영과 동시에 완벽에 가까운 색감과 이미지를 얻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색감을 좀 더 강조하기를 원한다면 매우 간단한 후 보정으로 원하시는 색감과 감성을 쉽게 표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We have now a full series of CBL Lens products, but have developed some new ideas which is under work, mr Choi says. The one who waits will see. Everything has to do with colour. 우리는 이제 CBL Lens의 모든 모델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개발 책임자이신 최실장님이 칼라에 관련된 더욱 흥미로운 자료들과 아이디어를 지금 준비하고 있으며 다음 번 기고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